Matrix as Linear Transformation
함수로써의 매트릭스
위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면, 더 할 것이 없다. 일단 잘 봐두도록 하자. 나중에 돌아와서 음미하면 의미가 와 닿을 것이다.
선형 변환은 특별한 형태의 함수로 이해할 수 있다. 다만 투입과 산출이 다양한 차원(벡터)을 취할 수 있다. 그리고 이 선형 변환이 매트릭스로 표현될 수 있다. 때문에 매트릭스 표현이 강력하다. 추상적인 선형 변환 함수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쉽게 계산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매트릭스다.
Linear Transformation
Concepts
- $V$: $T$의 인풋
- $W$: $T$의 아웃풋
- $T: V \to W$: $V$에서 $W$로의 선형 변환
- $T(\vec v) = \vec w$. 즉, $\vec v \in V$를 $\vec w \in W$로 변환하는 것을 나타낸다.
함수와 마찬가지로 위의 선형 변환에서 치역(Im($T$))와 커널(스칼라 함수에서는 $f(x) = 0$의 해)이 정의된다.
Matrix Representation
인풋, 아웃풋의 기저 벡터를 다음과 같이 두자.
- $M_T \in \mathbb R^{m \times n}$은 선형 변환 $T$의 매트릭스 표현이다.
- 보다 정확하게 표현해보자.
즉, $V$의 기저로 표현되는 인풋을 $W$의 기저로 표현되는 아웃풋으로 바꿔준다.
Linearity
선형의 의미는 무엇일까? 기하적으로 선을 다룬다는 뜻이 아니다. 선형의 의미는 함수적인 의미다. 아래 그림을 보자.
즉,
Matrix as Linear Transformation
왜 매트릭스가 선형 변환을 나타낼 수 있는지를 좀 더 들여다보자.
Eat This!
Mapping Spaces
선형 변환을 다시 적어보자. $T: V \to W$ where $V \in \mathbb R^n$, $W \in \mathbb R^m$. 즉 이 변환은 $n$ 차원의 벡터를 $m$ 차원으로 바꿔주는 것이다. 이 변환의 투입이 지니는 차원을 생각해보자. $n$ 차원은 로우 공간이 생성하는 $\mathcal R (M_T)$와 널 공간으로 가는 $\mathcal N(M_T)$으로 나뉘게 된다. 그리고 이 공간은 서로 직합(direct sum) 관계다.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.
즉 함수처럼 인풋 $\vec v \in \mathcal R(M_T)$이 $\vec w \in \mathcal C(M_T)$로 대응된다. 한편, $\vec v \in \mathcal N(M_T)$는 $\vec 0 \in W$으로 대응된다.
Surjective and Injective
함수에서 전사 함수와 단사 함수의 개념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. 선형 변환 혹은 행렬도 함수다.
만일, $\vec v_1 \neq \vec v_2$이고 $\vec v_1, \vec v_2 \in \mathcal R(M_T)$라면 이는 선형 변환의 정의에 따라서 서로 다른 $\vec w$로 매핑된다. 따라서 만일 단사 변환이 되려면, $\mathcal N(M_T) = { \vec 0 }$만 성립하면 된다.
단사 변환이란 오직 $x = y$일 때만 $Ax = Ay$가 성립한다는 뜻이다. 즉 위의 식에서 $A(x-y) = 0$이 $x=y$일 때만 성립하면 된다. 즉, $A x = 0$이 $x=0$일 때만 성립하면 된다. 전사 변환의 정의는 통상적인 정의와 같다; ${\rm Im} (T) = \mathbb R^m$.
매트릭스의 맥락에서 다시 음미해보자. 만일 전사(surjective) 변환이 되려면 $n \geq m$이 성립해야 한다. 로우 스페이스의 차원이 컬럼 스페이스보다 커야 컬럼 스페이스 전체를 생성할 수 있다. 반면 단사(injective) 변환이 되려면 $n \leq m$이 되어야 한다. 1-1 대응이 가능하려면 컬럼 스페이스의 크기가 로우 스페이스보다 커여 한다.
따라서 전단사 변환이 되기 위한 조건은 $m=n$이다. 함수에서 역함수가 존재하려면 전단사 함수여야 한다. 선형 변환도 마찬가지다. 역행렬이 존재하기 위한 필요 조건은 정방 행렬, $m=n$이다.
보다 상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하자.